통합테스트베드 소개

디지털플랫폼정부에서 제공하는 통합테스트베드가
어떤 서비스인지 알려드립니다.

DPG 통합테스트베드 정의

중소・벤처기업, 시민 개발자, 국가・공공기관 등 국민 누구나 AI 등 첨단기술 기반의 DPG 혁신서비스를 자유롭게 개발・시험・검증 할 수 있는 기반 환경*제공 * 클라우드, API 등 디지털자원, AI 등 개발지원도구, 민간의 전문기술역량 지원

DPG 통합테스트베드 구성도

DPG 통합테스트베드 구성도DPG 통합테스트베드 구성도
중소・벤처기업, 스타트업, 국가・공공기관, 시빅해커, 국민 개발자, 학생 개발자 의 국가 DPG AI 센터 활용하기
DPG AI testbed
자원제공
  • 디지털자원 제공 - 민간과 공공의 데이터, 서비스, 빌딩블록 등
  • 멀티클라우드 자원제공 - CPU/스토리지/네트워킹, GPU 등 고성능 컴퓨팅, 데이터랜딩존(안심구역), 초거대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검증 지원도구
  • SW 개발지원 도구 - NoCode/LowCode, 기획도구 등
  • 클라우드 개발지원 도구 - 클라우드테이티브, DevOps 등
  • 데이터 가공・분석 도구 - 데이터 분석 일반인고급자용
  • AI 분석·학습·모델링 도구 - MLOps, AIOps, LLMOps 등 xOps
  • 생성형 AI 개발지원 도구 - 민간의 멀티 LLM 지원 등
  • 생성형 AI 신뢰성 검증 지원 도구 - 신뢰성 검증 테스트세 등
DPG AI Tech-Lab
DPG AI one-team (AI, Data, 클라우드, SW, 보안 등 민간 전문가 및 민・관협력체계)
  • 개발・시험・검증 프로그램 - DPG AI devops / test / verify
  • 전문컨설팅 프로그램 - DPG AI professional consulting
  • 교육・코칭 프로그램 - DPG AI coaching /bootcamp
  • 경진대회 프로그램 - DPG AI challenge / - DPG AI hackathon
  • 애자일 실증 프로그램 - DPG AI pilot / PoC
  • 플레이그라운드 프로그램 - DPG AI playground, Report

이런 분들이 사용하기 좋아요!

01 시민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01 시민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 고속도로 유지보수 예산 산정을 위한 통행량 예측 자료가 필요한 교통공단 직원

체험자
이름 - 김민수
직책 - 교통운영과주무관
연령 - 35세
경력 - 8년(교통관련 업무 5년, 데이터 분석경험 3년)
개발목적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중요한 공공 부문 업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싶다
개발계획
데이터의 양이 많아지면 더 정교한 예측 모델이 필요해져 AutoML 도구를 이용해 데이터를 전처리 하고자 한다. 고속도로 차량 통행 정보를 분석하여 지역별 도로 노면 상태를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어 예산 측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상황(문제점)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하여 예측분석의 직접 수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분석과정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이나 도구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활용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목표(개선)
데이터 수집, 전처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잘 몰라도 ML모델 개발을 쉽게 해 볼 수 있다면, 도로 관리 관련 예산 산정에 도움을 주는 예측자료를 효율적으로 잘 만들 수 있을꺼 같다.
구현
AutoML 을 이용하여 AI・데이터 기반 노면 상태 분석 및 사고 위험 예측 구현
02 시민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02 시민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 온라인 서비스에 LLM 기반의 고객지원 챗봇 구축을 하고자 하는 웹디자이너

체험자
이름 - 김지민
연령 - 28세
직업 - 웹디자이너
경력 - 웹디자인분야 5년
학력 - 시각디자인 전공, 디자인 관련 대학 졸업
개발목적
소유한 기업 상품 포털에 LLM 기반의 고객지원 챗봇을 도입하고 활용해 보고 싶다
개발계획
서비스 포털에 고객들이 홈페이지 게시판에 문의를 남겼을 때, 실시간 고객 대응이 어려운 문제에 대하여 답변 매뉴얼과 기존 문의・답변 데이터를 LLM 모델에 학습 및 참조하여 자동으로 답변을 남길 수 있는 지원 챗봇을 LLM 구축 솔루션을 활용하여 개발한다.
상황(문제점)
기본적인 웹서비스 개발을 위한 지식은 있지만, LLM 모델 학습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문지식은 미흡하다. 기업에서 보유한 데이터를 간편하게 학습하여 맞춤형 LLM 기반의 챗봇 서비스의 개발 및 배포 가능한 솔루션이 필요하다,
목표(개선)
간단한 프롬프트 러닝만으로 서비스 포털에 맞는 LLM 모델을 개발하고, API로 배포해서 서비스 포털에 개선될 챗봇에 활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하고 싶다. 추가로 POC 기간은 별도의 투자비용 없이 무상으로 테스트가 가능하면 좋겠다.
구현
DidimAMP를 이용한 LLM기반 서비스포털 챗봇 서비스를 직접 구현
03 시민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03 시민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 지하철역 “무인 사물함 서비스” 개발을 위해 노코드 솔루션을 활용하고 싶은 시민개발자

체험자
이름 - 이지희
연령 - 28세
직업 - 기획자
경력 - 마케팅분야 3년
학력 - 경영학 전공
개발목적
개발경험이 없지만, 내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노코드를 활용해 직접 개발해 보고 싶다.
개발계획
광주광역시 지하철역 "무인 사물함 서비스"는 물건 보관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하기 불편하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이용료를 결제하기 힘든 구조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결제 기능 및 다양한 편의 기능을 포함시켜서 보다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개발
상황(문제점)
아이디어가 있어도 개발울 해본 적이 없어 실행으로 옮기지 못하고 있다. 노코드 개발 툴 선택부터 완성까지 일련의 과정을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목표(개선)
드래그인 드롭 방식의 코딩이 필요없는 노코드 툴을 이용하여 내가 원하는 간단한 서비스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전자결제 및 알림 서비스 등 연계 기능를 API 를 통해 휩게 연동할 수 있어 쉽게 개발할 수 있다.
구현
E-GENE을 통해 MoCode를 활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광주 지하철 무인 사물함 서비스 앱 개발
04 전문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04 전문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 이미지 데이터셋을 고성능 컴퓨팅 자원으로 분석하여 특정 이미지 판별을 위한 모델 생성 AI 개발자

체험자
이름 - 홍길동
연령 - 35세
직업 - AI 개발자
경력 - 데이터분석 및 머신러닝분야 8년이상의 경력
학력 - 컴퓨터공학 석사
개발목적
GPU 가속기 및 분석솔루션을 통해 이미지 판별 서비스를 개발하고 싶다.
개발계획
AI 데이터레이크 기능 중 데이터 검색이 아닌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이미지 분석이 가능한 분석 솔루션과 클라우드사의 GPU 가속기를 지원하여 정형데이터가 아닌 반정형 데이터분석 및 모델 개발을 지원
상황(문제점)
스타트업 특성상 신규 서비스 개발 예산이 많지 않아 무상으로 모델 생성 전믄 플랫폼과 고가의 GPU 가속기 인프라가 지원되는 환경이 필요하다
목표(개선)
보유한 이미지 데이터셋을 GPU 가속기 지원이 가능한 분석 솔루션을 통해 이미지 데이터를 학습시키고 모델을 최적화하여 고도화된 이미지 판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싶다.
구현
Cheetah를 이용하여 편리한 분석・모델링을 통해 누구나 쉽게 이미지 판별 서비스를 개발
05 전문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05 전문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 노코드 블록으로 API를 결합하여 나만의 건강API를 개발하고 건강상태 관리 서비스앱을 개발하고 싶은 IT스타트업 PM

체험자
이름 - 김지현
연령 - 35세
직책 - 프로젝트 매니저
경력 - 8년(IT 및 헬스케어 분야)
학력 - 컴퓨터공학 석사
개발목적
운영중인 자체 건강관리 서비스와 오픈 API를 연계해서 업그레이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
개발계획
자체 건광관리 서비스를 운영 중인데 좀 더 복합적인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습니다. 전 국민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는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백엔드 노코드 개발지원도구를 활용하여 건강상태를 관리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상황(문제점)
단위 API를 개발해 본 적은 있으나 2개 이상의 API를 매쉬업하여 개발해 본 적이 없다. 개발 완료 후 테스트 및 배포 가이드가 필요하다. 다양한 외부 API와의 연계 및 호환성, 클라우드 환경에선의 서비스 안정성이 필요하다.
목표(개선)
백엔드 노코드 툴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API 서비스를 개발해 보고 싶다. API로 서비스를 테스트해 보고 건강상태 관리 서비스를 업그레이드한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싶다.
구현
Synctree를 통해 클록코팅을 활용한 건강 관련 API 조립・결합으로 건강상태 관리 서비스 개발
06 전문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06 전문개발자 체험 페르소나 - 로우코드 툴로 소스코드와 시스템을 자동생성하여 공개형 연구과제관리시스템 개발을 하고자 하는 개발팀장

체험자
이름 - 김철수
연령 - 38세
직책 - 응용시스템 개발팀장
경력 - 15년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경험
개발목적
단기간의 개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여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개발방법을 찾아보고 있다.
개발계획
기술연구소의 공개형 연구과제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분석, 설계, 개발, 테스트 단계별로 Low-Code개발지원도구(SaaS)를 이용하여 기간 단축, 생산성 향상, 원가 절감 효과를 달성하고 DevOps 운영환경 확보를 목표로 한다.
상황(문제점)
소스 자동생성을 위하여 업무절차, 데이터, 화면설계 등 설계 문서 표준작성방법 가이드가 필요하다. 성공적인 테스트를 위한 사전 준비 및 결과 검증 방법, 배포방법 제시가 필요하다.
목표(개선)
분석설계자들 중심으로 파일럿 시스템을 만들 수 있도록, 개발지원도구를 활용해서 소스코드와 목표시스넴을 자동으로 만들고 테스트까지 자동 수행할 수 있게 해서, 실제 시스템 개발 시 이슈를 확인하고 생산성 향상을 시키고 싶다.
구현
LAMP7을 통해 설계는 사람이, 개발은 로봇이! 프로그램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